월화원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에 위치한 아름다운 전통 정원입니다. 효원공원 내에 자리하고 있으며, 중국 광둥 지역의 전통 건축 양식으로 조성된 것이 특징입니다. 아름다운 풍경과 이국적인 정취를 느낄 수 있어 수원 시민뿐만 아니라 많은 관광객들에게 사랑받는 명소입니다.
월화원 정보
- 주소: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동수원로 397 효원공원 내 (매탄동 416)
- 운영 시간: 매일 09:00 - 18:00 (매표 마감 17:30), 매주 월요일 휴무, 1월 1일, 설날, 추석 당일 휴무
- 입장료: 무료
- 전화: 031-218-0335
- 효원공원과 함께: 월화원은 효원공원 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, 월화원과 함께 효원공원을 산책하는 것도 좋습니다. 효원공원에는 넓은 잔디밭, 연못, 산책로 등이 조성되어 있어 휴식과 여가를 즐기기에 좋습니다.
- 사진 촬영 명소: 월화원은 이국적인 건축물과 아름다운 조경으로 사진 촬영 명소로 유명합니다. 특히, 연못과 정자를 배경으로 사진을 찍으면 멋진 인생샷을 남길 수 있습니다.
- 데이트 코스: 아름다운 분위기 덕분에 연인들의 데이트 코스로 인기가 많습니다. 조용하고 한적한 분위기에서 산책과 담소를 즐기기에 좋습니다.
- 휴무일 확인: 매주 월요일은 휴무이므로, 방문 전에 휴무일을 꼭 확인하세요. 특징: 중국 광둥 지역 전통 양식 정원, 효원공원 내 위치, 아름다운 건축물과 조경, 산책 및 휴식 공간
월화원의 역사와 탄생 배경
월화원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공원 내에 위치한 중국식 전통 정원입니다. 이 정원은 수원시와 중국 광둥성 간의 우호 관계를 기념하고, 문화 교류를 증진하기 위해 조성되었습니다.
- 우호 도시 협약: 수원시와 광둥성은 1993년 자매결연을 맺고 활발한 교류를 이어왔습니다. 월화원은 이러한 우호 관계를 상징하는 기념물로 기획되었습니다.
- 광둥 지역 전통 정원: 월화원은 중국 광둥 지역의 대표적인 정원 양식을 반영하여 설계되었습니다. 광둥 지역의 건축가와 기술자들이 직접 참여하여 정통 중국 정원의 아름다움을 재현하고자 노력했습니다.
- 효원공원 내 조성: 월화원이 조성된 효원공원은 수원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, 월화원의 개장으로 공원의 매력이 더욱 풍성해졌습니다.
준공 시기
월화원은 2003년 4월 17일에 준공되어 일반에 공개되었습니다. 약 1년 6개월의 공사 기간을 거쳐 완성되었습니다.
만든 사람들
월화원은 한국과 중국의 협력으로 탄생했습니다.
- 주최: 수원시와 중국 광둥성 인민정부가 공동으로 주최했습니다.
- 설계 및 시공: 광둥성에서 건축가와 기술자들을 파견하여 설계와 시공을 담당했습니다. 한국 측에서도 설계 및 시공 과정에 참여하여 협력했습니다. 특히, 광둥성 임옥련(林郁蓮) 건축가가 설계를 주도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- 자재: 정원 조성에 사용된 건축 자재와 조경수 일부는 중국에서 직접 가져왔습니다. 중국 전통 건축 양식의 특징을 살리기 위해 기와, 돌, 목재 등을 중국 현지에서 공수해 왔다고 합니다.
공사 비용
월화원 조성에는 약 23억 4천만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었습니다. 수원시와 광둥성이 절반씩 부담하여 건립되었습니다.
비하인드 스토리
월화원 조성 과정에는 다음과 같은 비하인드 스토리가 있습니다.
- 정통 중국 정원 재현: 월화원은 중국 광둥 지역의 전통 정원을 그대로 옮겨온 듯한 모습으로, 정통 중국 정원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심혈을 기울여 조성되었습니다. 중국 건축가와 기술자들은 한국에 머물면서 설계부터 시공, 조경까지 모든 과정을 직접 감독하고 진행했습니다.
- 문화 교류의 상징: 월화원 조성은 단순한 정원 건설을 넘어, 한국과 중국 간의 문화 교류와 우호 증진에 기여하는 중요한 사업이었습니다. 정원 곳곳에는 양국 문화의 조화와 우정을 상징하는 요소들이 담겨 있습니다.
- 수원 시민의 사랑: 월화원은 개장 이후 수원 시민들의 사랑을 받는 명소로 자리매김했습니다. 아름다운 정원 풍경과 이국적인 분위기는 시민들에게 특별한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 또한, 외국인 관광객들에게도 한국 속의 작은 중국을 경험할 수 있는 매력적인 관광 코스로 인기가 높습니다.
단점 또는 아쉬운 점 - 일반적인 공원 시설의 한계
- 중국 정원 양식에 대한 호불호: 월화원은 중국 전통 양식으로 조성되었기 때문에, 한국 전통 정원에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다소 이질적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. 중국적인 분위기를 선호하지 않는 경우에는 매력이 덜할 수도 있습니다.
- 시설 관리: 공원 시설인 만큼, 지속적인 관리와 보수가 필요합니다. 방문객 증가에 따라 시설 노후화나 훼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, 이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것 같아서 실물을 보면 사진보다는 많이 실망합니다
- 접근성: 대중교통 접근성은 나쁘지 않지만, 자가용 이용 시 주차 공간이 부족. 특히 주말이나 휴일에는 주차에 어려움
- 그늘 부족: 정원 특성상 햇볕을 가릴 만한 그늘이 부족. 특히 여름철에는 더위를 피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.
시민들의 의견
아쉬운 점, 불편 민원제기
- 주차 불편: 주차 공간 부족에 대한 불만이 종종 있습니다.
- 시설 노후화: 일부 시설의 노후화나 보수 필요성에 대한 의견이 있습니다.
- 여름철 더위: 그늘이 부족하여 여름에는 덥다는 의견이 있습니다.
결론
월화원은 뚜렷한 단점이나 심각한 민원 제기 사례는 찾기 어려웠습니다. 다만, 일반적인 공원 시설이 가지는 한계점이나, 개인의 취향에 따라 아쉬운 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.
사진과 관리소의 홍보내용과 다름.
실물은 많이 낡아있고 관리부실로 보수가 당장 필요해 보였습니다.
현 시국에는 중국문화에 대한 반감이 존재 하기에 여러 가지로 민감한 사항인 듯합니다.
보수 및 수리 계획을 찾을 수 없음
수원시청 홈페이지의 공원녹지 관련 부서 (예: 공원녹지사업소)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관련 공지사항이나 보도자료를 확인. (http://www.suwon.go.kr/)하였으나 공개된 내용은 없음.